모바일 메뉴 닫기
 

전공소개

  문헌정보학은 종래에는 도서관학이라 하여 주로 도서 자료를 인식하고 수집, 정리, 조직, 운용하는 지식과 기술을 다루는 분야를 일컬었으나, 정보 개념이 도입되면서 넓은 의미의 정보와 이용자 및 그 상호 관계로 분야가 확대되었다. 도서관학이라는 용어는 1808년 독일의 M.W.슈레팅거가 처음 사용하였으나, 실무적으로는 기원전 마케도니아의 알렉산드리아도서관 사서였던 칼리마쿠스가 그리스 문헌 목록인 피나케스(Pinakes)를 작성하였으므로 도서 자료와 그 기원을 함께 한다고 할 수 있다.

  17세기 프랑스의 G.노데는 도서관 사상과 운영의 원리를 논한 최초의 개론서인 (도서관 설립법 Advis pour dresser une bibliothque) 을 펴내어 이 분야를 본격적인 학문으로 다루었다. 한국에서는 1946년 국립중앙도서관의 전신인 국립도서관 내에 '국립조선도서관학교' 를 설립함으로써 근대적인 문헌정보학 연구 및 사서 양성을 시작하였다. 정보학이라는 용어는 1959년 미국 펜실베이니아대학교 출판물에서 처음 쓰였는데, 정보 형태의 다양화와 컴퓨터 및 통신공학의 발달에 따라 정보의 성질과 유통뿐 아니라 정보 가공기술 및 시스템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. 도서관학과는 자료와 그 이용이라는 측면에서 정보학과 통합되어 다루어진다. 주요 연구분야로는 문헌정보학사, 정보의 수집 · 조직 · 가공 · 이용, 참고봉사, 도서관 운용 및 협동체제, 서지학 등이 있으며, 인접학문으로는 정보이론, 사이버네틱스(cybernetics 인간과 기계 간의 정보처리를 연구하는 학문), 기호학 · 언어학 · 심리학 · 도서학 · 서지학 등이 있다.

 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여 각종 정보와 문헌이 폭증하고 있으며, 개방의 폭이 확대되고 무한경쟁시대를 맞이하면서 개인간 · 단체간 · 국가간의 정보 주도권 경쟁이 치열하게 전개되고 있다. 정보화시대에 정보를 가장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정보전문인력을 육성하는 것은 중요한 과제라 할 수 있다. 이러한 시점에서 문헌정보학의 역할과 그 책임은 더욱 무거워지고 있다. 정보화시대에서 정보가 새로운 자원이라고 한다면 정보를 대상으로 하는 문헌정보학은 바로 이 시대의 핵심영역이며 이를 통해 배출되고 있는 정보전문직은 주도적인 역할을 담당하게 될 것이다.